[수업가이드] UN 지속가능발전목표

2023-06-09
조회수 3952
UN 지속가능발전목표를 소개합니다.

이 가이드를 사용해서 학생들과 함께 UN 지속가능발전목표에 대해 소개하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.



UN 지속가능발전목표란?

UN 지속가능발전목표는 모두 함께 지구를 보호하면서 개발하자는 전 세계 국가들의 노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 지속가능발전목표(Sustainable Development Goals(SDGs) 또는 Global Goals)는 UN에 가입된 193개 나라들이 2015년에 함께 결의한 국제적인 합의 내용으로, 모두 17개의 주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 지속가능발전목표는 가장 큰 규모의 국제 협약으로서, 전 세계 국가들의 가난, 빈곤, 불평등을 뿌리 뽑고, 건강을 보호하며, 기후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국제적인 결의입니다.


소개 동영상

다음은 지속가능발전목표가 무엇인지와 왜 필요한지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짧은 동영상입니다. 함께 시청하면서 다음 활동들 중 한 가지를 골라 진행해보세요. 



활동 1: 우리에게 슈퍼 파워가 있다면?
우리가 무엇이든 다 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, 지속가능발전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합니다.

8-11세, 30분


학급 및 소그룹 토론을 통해서 지속가능발전목표를 탐구하고 왜 이러한 목표가 필요한지 생각해봅시다. 우리에게 만약 슈퍼 파워가 있다면 어떤 변화를 만들 수 있을까요?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 수 있는 우리만의 문제해결 아이디어를 만들어봅시다. 


1. 그룹 토론
  • 영상을 보면서 지속가능발전목표이 무엇이고, 누가 왜 수립하였는지 살펴봅시다.
  • 지속가능발전목표와 관련된 글로벌 이슈가 전 세계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고 있나요?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가 어떻게 변화를 만들 수 있을지 생각해봅시다.
    • (예시) 플라스틱 쓰레기를 아무렇게나 던져 버리면 결국에는 바다를 오염시키고 해양 생물들을 죽이게 됩니다. 플라스틱 쓰레기들을 재활용함으로써 바다를 깨끗하게 만들고 새로운 플라스틱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지구의 자원을 더 적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(예시) 짧은 거리를 자동차를 타고 이동하는 것은 불필요한 환경 오염을 만들어 낼 수 있으므로, 짧은 거리는 걸어서 이동합니다.
  • 우리가 수퍼 파워를 가졌다고 가정하고, 지속가능발전목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해법들을 생각해볼까요?
    • (예시) 북극해를 얼리거나 급속도로 빠르게 자라는 나무를 개발합니다. 또는 강과 바다의 플라스틱 쓰레기를 치우는 거대한 기계를 발명합니다. 


2. 작은 모둠 활동

작은 모둠 활동에서는 서로 아이디어를 나누고, 토론하며 생각을 나눕니다.

  • 지속가능발전목표 중 한 가지를 선택하도록 하고,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들을 생각해봅시다. 
    • 기후 변화 - 북극의 겨울이 따뜻해지고, 북극의 바다가 1년 내내 얼지 않게 되면서 동물들의 서식지들이 파괴되어가고 있습니다.
    • 수생태계 보전 - 큰 바다들이 쓰레기로 오염되었고, 바다에서 사는 생물들을 죽이고 바다 생물들의 서식지를 파괴하고 있습니다.
  •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는 수퍼 파워에 대해서 서로 이야기 해 봅시다.
  • 학급 게시판에 붙일 수 있도록 만들어진 큰 종이에, 내가 선택한 지속가능발전목표와 나의 슈퍼 파워 해결책에 대해 적어보고 함께 이야기해봅시다.


3. 피드백 평가
  • 각 모둠의 대표가 모둠의 활동 결과를 전체에 발표합니다.
  • 모든 모둠의 결과물을 모은 후, 지속가능발전목표 관련 학급 게시판에 게시합니다.


활동 2: 대통령이 되어보자!
지속가능발전목표가 왜 필요한지에 대해 토론합니다.

11-13세, 15분


"지금 우리 지역/나라/세계가 직면하고 있는 가장 큰 문제는 어떤 것일까요?"

(교실에 맞게 적절하게 변형해서 사용 )

  • 이 질문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나요? (다른 사람들의 입장과 관점에서 충분히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.) 
    • “여러분이 그 나라의 대통령이라고 생각해보세요!” 
    • 작은 모둠으로 나누어 서로 토론을 충분히 한 후에, 모둠 대표가 우리 모둠이 생각한 의견(문제)들을 모두가 잘 보이는 곳(칠판 등)에 적어보면서 발표해봅시다.
    • UN 지속가능발전목표 목표 그리드를 함께 살펴봅시다. 
    • 우리가 제시한 의견(문제)들을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들과 비교해봅시다. 우리 학급이 제시한 의견(문제)들은 어떤 목표와 관계가 있나요?
  • (활동팁) 학생들이 많은 수업이라면, 17명의 학생들을 교실 앞에 칠판을 바라보게 등이 보이도록 세웁니다. 17명의 학생들은 UN 지속가능발전목표가 적혀진 17장의 종이를 한장씩 앞에 들고 있습니다. UN 지속가능발전목표들과 관련한 의견(문제)들이 제시되면, 그 학생은 다른 학생들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뒤로 돕니다.



활동 3: 우리 삶과 연결하기
지속가능발전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방법들 생각해보고, 이러한 실천을 통해 변하게 될 미래를 상상하고 탐색합니다.

8-13세, 30분


1. 시작 토론 

5분: "2030 년에는 몇 살이 되나요?” 

  •  “우리는 2030 년에 무엇을 하고 있을까요? 어떤 직업을 가지고 있을까요? 그때쯤 나는 무엇을 공부하고 싶나요? 나의 시간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을 것 같나요?” 
    • 2030년은 지구촌이 UN 지속가능발전목표(SDGs)를 달성하기로 목표한 해입니다. 각자 혹은 모둠별로 생각해보고 서로 생각한 것을 함께 나누어봅시다. 


2. 지속가능발전목표 소개하기

5분: UN 지속가능발전목표 목표 그리드를 함께 보면서 모둠별로 토론해보고, 다 함께 생각한 것을 나누어 봅시다.

  • "우리의 미래 생활이나 삶이 UN 지속가능발전목표과 관계가 된다는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나요? 우리 미래 모습들 중에서 어떤 부분들이 지속가능발전목표와 관련되어 있을까요?" 
    •  (예시) 선생님이 되고 싶은 학생은 지속가능발전목표 중 4번 목표인 교육 불평등을 해결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. 엔지니어가 장래희망인 경우에는 11번 목표인 지속가능 도시와 주거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관련이 될 수 있습니다.


3. 지속가능발전목표의 나라 설계하기

10 분: 2030년에 지속가능발전목표들과 관련한 문제들이 해결되었을 때, 각자 생각한 국가의 모습은 어떤지 상상해서 모둠별로 그려봅시다. 

  • “시민, 환경, 자연자원을 위해 국가는 어떤 것을 돌봐야하나요? 예를 들어, 학교, 병원, 수자원, 쓰레기 처리 시스템, 안전한 도로 교통 등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."
    • 큰 종이에 각자가 생각한 나라의 모습을 그려 보도록 합니다. 지속가능발전목표 목표 그리드를 참고하면서 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시설과 인프라를 함께 생각해서 나라를 설계해 봅시다.  모둠이 많을 경우, 국가별로 합쳐 대륙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습니다!


4. 피드백과 토론

10 분: 모둠별로 활동 시간을 가진 후에, 모두 함께 모입니다. 다른 모둠에게 각 모둠이 설계한 나라에 대해서 설명하고, 친구들의 의견을 받습니다.

  • 어떤 지속가능발전목표들이 해결되었는지 생각해보고, 어떤 목표들이 해결되지 못했는지 생각해봅니다. 예를 들어,
    • 이 나라에서 건강 및 웰빙 생활과 관련하여 어떤 것들이 개선되었나요?
    • 이 나라에서 모든 사람들이 소외되지 않고, 함께할 수 있는 사회라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?
    • 이 나라에서 자연 보호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?
  • 이러한 질문에 답하는 것은 결코 쉬운일이 아니고, 완벽한 답이란 없다는 것을 기억하세요. 각자 질문을 던지고, 각자 잘고 있는 것과 개선해야할 것들을 생각해볼 수 있도록 독려해주세요.
  • 학생들이 설계한 나라의 모습을 수정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시간들을 충분히 주어도 좋습니다. 모든 활동이 마무리되면, 모두가 잘 볼 수 있는 곳에 결과물들을 게시하고 함께 축하해주세요! 여러 개의 나라들이 있으면 대륙이나 전 지구로 묶을 수도 있습니다!


UN 지속가능발전목표 그리드 다운로드 받기


이 수업가이드는 World's Largest Lesson이 개발하고, 스마일게이트 퓨처랩이 리믹스하였습니다.

참고 | do your :bit (https://microbit.org/ko/projects/do-your-bit/global-goals/introducing-the-global-goals)